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부터 시행되는 고교학점제 이것부터 알고 시작하자

 

2025년부터 시행되는 고교학점제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1. 고교학점제란?

2025년 고교학점제

  • 시행 시기: 2025년부터 모든 고등학교에서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
  • 졸업 기준: 3년간 최소 192학점 이수 필요
  • 과목 이수 기준 : 고교학점제 학업 성취율 40% 이상, 고교학점제 과목 출석률 2/3 이상 충족 시 학점 취득 가능

2. 고교학점제 성취평가제란?

2025년 고교학점제2025년 고교학점제2025년 고교학점제

성취평가제(Absolute Evaluation System)는 상대적인 등급이 아니라, 학생이 학습 목표를 어느 정도 성취했는지를 평가하는 방식입니다.

▶ 성취평가제 적용 방식

  • 모든 선택과목: 성취평가제 적용 (A, B, C, D, E 5단계 평가)
  • 공통과목(국·영·수 등): 9등급 상대평가 병기
  • 한국사·과학탐구실험: 성취평가제 적용, 석차등급 미산출
  • 체육·예술 과목: 3단계 성취평가(A, B, C) 적용

▶ 성취평가제의 장점

  • 절대평가 방식으로 경쟁 부담 완화
  • 학생 개개인의 성장 중심 평가 가능
  • 진로·적성에 맞춘 학습 설계 가능

2025년 고교학점제2025년 고교학점제2025년 고교학점제

3. 내신 등급과 평가 방식 변화

 

▶ 기존 vs. 새로운 평가 방식

2025년 고교학점제2025년 고교학점제

평가 항목 기존(2024년까지) 2025년 이후(고교학점제)
공통과목(국·영·수) 9등급 상대평가 9등급 상대평가 유지 + 성취평가 병기
선택과목(일반·진로·융합) 일부 성취평가제 적용 전면 성취평가제(A~E)
한국사·과학탐구실험 일부 상대평가 성취평가제, 석차 등급 미산출
체육·예술 3단계 평가(A~C) 3단계 평가 유지

4. 선택과목 운영 방식

▶ 선택과목 분류

  • 공통과목: 필수 이수 과목(국·영·수 등)
  • 일반선택과목: 모든 학생이 선택 가능한 과목
  • 진로선택과목: 학생의 진로에 맞춰 개설되는 과목
  • 융합선택과목: 기존 교과의 경계를 넘나드는 융합형 과목
  • 전문교과: 직업계고나 특정 특성화고에서 개설되는 심화 과목

 

5. 고교학점제 적용 후 대입 변화

▶ 주요 변화

  • 학생부 종합전형에서는 진로 선택과목 이수 내용 및 성취도 반영
  • 공통과목 내신 변별력 유지(9등급 병기)
  • 학생부 기록 중요성 증가: 과목 선택 과정 및 학업 성취도 기록

6. 고교학점제 '이것'부터 시작하자

 학생들은?

  • ✅ 본인의 진로·적성에 맞는 과목 선택
  • ✅ 학습 목표를 명확히 하여 성취도 관리
  • ✅ 수행평가 및 논·서술형 평가 대비

 학부모들은?

  • ✅ 자녀가 과목 선택을 할 때 충분한 상담 제공
  • ✅ 평가 방식 변화에 대한 이해 필요

 교사들은?

  • ✅ 평가 신뢰도 확보를 위한 성취평가제 연수 참여
  • ✅ 학생별 맞춤형 교육과정 지도 강화

 

2025년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중요한 변화입니다.

기존의 내신 중심 경쟁에서 벗어나 학생 개개인의 학습 성장을 중점적으로

평가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학생, 학부모, 교사 모두가 평가 방식과 선택과목 운영 체계를

이해하고 철저히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